Error Error
Error
Error
  • 바이러스 검출원인 추정(특별 기술지원 결과)

    • 염소소독 미흡 및 정수장의 부적정 운영

      1. 기술지원 4개 정수장 중 3개 정수장(하남, 영동, 영천)이 필요소독능력 미달

        ※ 필요소독능력 : 바이러스를 목표수준까지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소독능력 (소독제 농도 × 바이러스 접촉시간)

        ※ 이산화염소 발생기 고장(하남정수장) 및 불규칙적인 염소투입 (영천 화북정수장)등이 주요 원인

      2. 4개 정수장 모두 간헐적 운전, 용량초과 생산등 부적정 사례 발견
      정수장별 소독능력 평가
      표 부분을 좌우로 밀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정수장별 소독능력 평가 - 정수장, 측정지점, 수행능력평가(ct)값(실제ct,필요ct,비율),평가
      정수장 측정지점 수행능력평가(CT)값 평가
      실제CT(A) 필요CT(A) 비율(A/B)
      하남 제1정수장 정수지 20.1 41 49 % 부적합
      제2정수장 정수지 26.5 35 75 % "
      영동 심청정수지 17.7 34 52 % "
      영동저수지 18 34 53 % "
      화북 정수지 10.6 82 13 % "

      운영인력 부족으로 정수장 운영 불안정

      1. 바이러스 검출 7개 정수장중 5개 정수장이 표준인력에 미달(70% 수준)
      2. 아울러 운영인력의 43%가 전문성 없는 기능·청경·일용직임

      취수장 위치 부적정에 따른 바이러스 오염 가능성

      1. 취수장 하류(1㎞)에 하수처리장이 위치, 홍수기간중 잔존 오염물질 역류 가능성 존재 (남양주시 화도)
      2. 상류 대도시(대전광역시) 오염원 입지로 상수원수 3급수 이용(공주 옥룡)

      수도관 노후 등으로 인한 급·배수 과정 오염가능성

      1. 원·정수에서 검출되지 않은 바이러스가 가정급수에서 검출 (여주, 영동)
      2. 여주군과 영동군은 15년이상 경과된 수도관이 32% 및 46%

        ※ 전국 평균(23%)을 훨씬 초과

      여주군, 영동군 15년이상 수도관 현황 (단위 : ㎞)
      표 부분을 좌우로 밀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정수장별 소독능력 평가 - 정수장, 측정지점, 수행능력평가(ct)값(실제ct,필요ct,비율),평가
      구 분 전국평균 여주군 영동군
      총연장 (A) 115,740 255 132
      15년이상 (B) 26,985 82 60
      비 율 (A/B) 23 % 32 % 46 %
  • 수돗물 수질 관리상 상수도사업의 문제점

    • 정수장 운영관리

      일부 정수시설의 여과 및 소독능력 미흡
      1. 용량초과 운전 또는 시설노후로 필요소독능 부족
      2. 적정 염소접촉시간 유지를 위한 정수지 유출입부 개선 및 도류벽 설치 미흡
      정수장 운영인력 부족 및 전문성 미흡
      1. 전국지자체정수장 566개소중 표준인력 기준에 미달하는정수장이 전체의85%(485개소)
      2.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정수장 관리에 기능직과 청원경찰 이 전체 운영인력의 69%를 차지
    • 상수원 오염요인 증가

      1. 전국 하천을 195개 구간으로 구분, 수질목표 설정 ·관리 - 목표 달성율 20 %에 불과
      2. 하 ·폐수처리시설 절대 부족으로 근본적 수질개선 기대 곤란
      하·폐수 발생 및 처리현황
      표 부분을 좌우로 밀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하·폐수 발생 및 처리현황 - 구분,계,하수,산업폐수,축산폐수
      구 분 하 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발생량(천톤/일) 26,736 24,028 2,511 197
      처리율 58 % 55 % 70 % 50 %
      하수도 보급률 불균형으로 농어촌지역 수질오염 취약 ( 지역간 하수도 보급률 비교(‘99년말) )
      전 국 특.광역시 시지역 군지역
      68.4 % 87.4 % 62.8 % 12.1 %
      1. 연간 약 97억톤의 하 · 폐수가 발생하고 있으나, 환경기초시설 대부분에 소독시설 미설치
        1. 대장균 등에 대한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기준도 미비
      2. 수돗물 수질관리 인프라 미비
        1. 먹는물 수질검사 분석능력을 갖춘 수도사업자는 163개 시 · 군 중 13개 시·군 (7.9%)에 불과
        2. 먹는물 수질기준 항목을 점차 확대하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 수질기준 항목 미흡
      각국의 수질항목수 비교
      한 국 영 국 미 국 WHO
      47 56 87 121
      1. 수돗물 수질관리 인프라 미비
        1. 99년말 기준 지방 상수도사업 누적 부채액 4조2천억원
        2. 99년말 기준 전국 평균 수도요금은 397원/톤으로 생산 원가 535원/톤의 74.1% 수준
      2. 수돗물 급·배수상의 오염요인 상존
        1. 15년 이상된 수도관이 전체의 23%를 차지
        2. 지방상수도 누적 부채로 노후관 개량사업 융자금 사용 포기
          1. '99년 불용액 67억원, 2000년 212억원
        3. 서울시 조사(99.1 ~ 12.31)결과, 옥내수도관 62%가 불량 및 녹물 발생 원인으로 작용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