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호 이익
오늘날 실학의 대종으로 추앙받고 있는 성호 이익(1681~1763)은 안산이 낳은 조선후기의 대학자이다. 1681년(숙종 7) 아버지 매산 이하진의 유배지인 평안도 운산에서 태어났다. 두 살 되던 해 아버지가 유배지에서 돌아가신 뒤로 둘째 형님인 섬계 이잠에게 수학하면서 학문을 익혔다.
평생 관직에 나가지 않으면서 당시 안산군 첨성리(지금의 안산시 일동)에 세거하여 백성들의 고단한 삶을 직접 체험하였고, 평생을 애민정신을 바탕으로 실학연구에 몰두하였다.
성호 이익은 학문의 뿌리를 경학에 두었지만, 당시의 사회현실에 비추어 보다 더 긴요한 것은 경세치용의 학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런 점에서 그의 학문을 탈주자학적인 수기치인의 학문으로, 당시 조선의 사회현실에 입각한 개혁사상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이교배척, 폐전론, 억말책, 남녀관 등에서 일정한 시대적 한계를 보이기도 했지만, 사민평등의 인간관 · 신분관 · 직업관에서 근대적인 면모를 보였다. 이런 성호의 학문과 사상은 후대 정약용 등을 비롯한 실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