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신 거리 약도
상록수역에서 최용신기념관까지 오시는 길에 최용신 선생과 제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조형물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만남
- 원산과 서울에서 학교를 다닌 우등생이었지만 자신의 도움이 필요한 곳을 찾아 샘골로 들어왔다.
- 최용신은 아이들과 함께 흙장난을 하면서 한글을 가르쳤다.
- 그렇게 샘골의 아이들, 샘골 사람들과의 만남이 시작되었다.
2. 이끎
- 최용신은 가난과 무지 속에 살고 있는 아이들을 보배롭게 보았다.
- 식민지 상태였지만 나라의 당당한 주인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 최용신은 어둠 속에 있는 아이들을 빛의 세계, 희망의 세계로 이끌었다.
3. 향함
- 샘골강습소에서는 한글·산술·체조·음악·성경·재봉·동화 등의 신교육을 가르쳤다.
- 샘골강습소는 나라의 미래를 위한 인재들을 키우는 곳이었다.
- 샘골 아이들의 발걸음은 늘 새로움과 기대감이 가득한 그곳으로 향했다.
4. 안김
- 최용신은 샘골 사람들을 사랑으로 대했다.
- 그들도 최용신을 신뢰하고 존경하게 되었다.
- 최용신은 26세의 나이로 죽음을 맞을 때 까지 샘골 사람들을 사랑으로 섬기고 세워주었다.
- 샘골 사람들은 최용신을 이렇게 불렀다.
- 둘도 없는 종, 둘도 없는 여왕, 둘도 없는 선생님.
등록되었습니다.
신청내용은 일자리센터 승인완료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