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안산시 시민배심원 3차 회의 이미지>
<2024년 안산시 시민배심원 2차 회의 이미지>
<2024년 안산시 시민배심원 1차 회의 이미지>
분과명 | 시민행복분과 | 미래비전분과 | 지속가능분과 |
---|---|---|---|
일시 | 10.10.(화)15:00 | 10.11.(수)09:30 | 10.12.(목)15:00 |
참석인원 | 윤태웅 등 18명 | 김기돈 등 14명 | 장한묵 등 19명 |
평가 | 공약사항 40건 | 공약사항 45건 | 공약사항 33건 |
<공약이행평가단 분과회의 이미지>
<공약이행평가단 전체회의 및 총회 이미지>
연번 | 공약번호 | 공약사업 | 담당부서 | 변경주요내용 | ||
---|---|---|---|---|---|---|
기존 | 변경 | 사유 | ||||
1 | 17 | 역세권 복합청년지원센터 건립 | 청년정책관 |
|
|
성포역세권 조성 여건의 불확실성으로 실행가능한 사업으로 변경, 핵심공약 실행력 강화 필요 |
연번 | 공약번호 | 공약사업 | 담당부서 | 변경주요내용 | ||
---|---|---|---|---|---|---|
기존 | 변경 | 사유 | ||||
2 | 22 | 초지역세권 개발 | 전략사업과 |
|
|
2024. 6. 28. 제290회 안산시의회 제1차 정례회 기획행정위원회 안건 처리 결과 “보류” 로 결정됨에 따라, 당초 계획되었던 공약 목표가 “2년 정도 지연” 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초지역세권 도시개발사업 “연차별 공약 목표(실천계획)” 변경 필요. |
3 | 23 | 사동 89블록 스마트도시 조성 | 전략사업과 |
|
|
대외여건 변화를 반영한 사업방식 변경 신안산선 연장 및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이라는 대외 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주택법」에 따른 주택건설 사업과 「경제 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으로 방향을 변경(선회) |
4 | 28 | 대부동 지역 인구5만인 이상 자족도시 발전계획 수립 시행 |
도시계획과 |
|
|
|
5 | 29 | 시화호 북측,동측간석지 첨단산업단지 등 조성 |
도시개발과 |
|
|
|
연번 | 공약번호 | 공약사업 | 담당부서 | 변경주요내용 | ||
---|---|---|---|---|---|---|
기존 | 변경 | 사유 | ||||
6 | 36 | 안산시 근로자 종합복지관 주차장 및 노동자지원센터 조성 | 노동일자리과 |
|
|
노동자지원센터 조성사업의 시민 의견 수렴 등 설계공모, 기본 및 실시설계 과업기간 확보를 통한 내실있는 추진 도모 |
연번 | 공약번호 | 공약사업 | 담당부서 | 변경주요내용 | ||
---|---|---|---|---|---|---|
기존 | 변경 | 사유 | ||||
7 | 38 | 의료인프라 확충 및 지원 | 전략사업과 |
|
|
‘22년 공약사항 연차별 목표 설정 당시와 변화된 의료시장 여건 반영과 ‘23년 11월부터 추진중인 한양대병원 유치 타당성 공동용역 결과를 반영한 능동적인 연차별 목표 재설정 필요 |
8 | 44 | 시립 치매전담형 노인요양원 건립 | 노인복지과 |
|
|
공사비 상승요인 발생착공 시점의 물가상승률 감안 |
9 | 47 | 행복드림버스 사업 활성화 지원 | 장애인복지과 |
|
|
수요기관과의 협의로 중형버스 1대 구입으로 변경(대형버스보다 중형버스 필요성 증가) 및 안산시장애인복지관 셔틀버스 활용도 제고 |
10 | 54 | 안산형 공유 육아방 등 육아보육기관 증설 | 여성보육과 |
|
|
고잔아이사랑놀이터(3호점) 건립뿐 아니라 월피동 내 기존 경로당 및 어린이집 용도의 복합건축물 리모델링을 통한 월피아이사랑놀이터(4호점)를 추가설치하여 육아보육기관 증설 |
11 | 55-3 | 민간‧가정교사 안전공제회 가입비 지원 |
통합돌봄과 |
|
|
지원대상 확대 및 가입절차 간소화로 사용자 편의 증대, 영유아수 감소에 따른 어린이집 폐원율을 고려하여 연차별 추진계획 현실화 |
연번 | 공약번호 | 공약사업 | 담당부서 | 변경주요내용 | ||
---|---|---|---|---|---|---|
기존 | 변경 | 사유 | ||||
12 | 60 | 문화광장 문화예술공간 조성 | 문화관광과 |
|
|
신안산선 공기 연장에 따른 공간 조성 어려움(24. 4. → 26. 12.) |
13 | 62 | 파크골프장 조성 | 체육진흥과 |
|
|
파크골프장 조성을 위한 추가 행정절차 이행 (매장 문화재 표본조사 시행) |
14 | 63 | 안산시 반다비체육문화센터 건립 | 체육진흥과 |
|
|
행정절차및BF인증 등 추가 보완공사에 따른 공사 기간 변경 |
15 | 64 | 단원 김호동 축제지역 대표축제로의 확대 | 문화관광과 |
|
|
통합축제 개최로 김홍도 축제 규모 확대 가능 |
16 | 66 | 시화호 뱃길 친환경 관광사업 운영 | 해양수산과 |
|
|
전기추진선박 배터리 및 충전설비 문제 발생에 따른 선박건조 지연으로 민간도선 등 활용방안이 필요 |
17 | 68 | 대부 습지보호센터 건립 | 해양수산과 |
|
|
정부긴축재정에 따른 (국비) 확보 지난 |
18 | 69 | 서울예술대학교의 대학로 일원 문화특화지역 조성 |
도시개발과 |
|
|
서울 예대 및 마을관리협의회 등 관련기관 의견조율에 따른 소요기간 반영 |
19 | 70 | 성포광장 문화특화지역 조성 | 녹 지 과 |
|
|
신안산선 일정 지연으로 성포역사와 성포광장의 상호 연계성 고려하여 변경 |
연번 | 공약번호 | 공약사업 | 담당부서 | 변경주요내용 | ||
---|---|---|---|---|---|---|
기존 | 변경 | 사유 | ||||
21 | 80 | 안산시 E-스포츠 활성화 노력 | 청년정책관 |
|
|
E-스포츠 전담 팀 신설에 따른 공약 사업 효율적 추진 및 실효성 강화를 위한 계획 변경 |
22 | 81 | 상호문화 상록센터 조성 | 외국인주민 행정과 |
|
|
상록구 지역내 외국인 수 증가 등 행정수요를 반영하여 공공건축의 통합건축 추진을 통해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내외국인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상호문화 공간조성 필요 |
연번 | 공약번호 | 공약사업 | 담당부서 | 폐기사유 |
---|---|---|---|---|
20 | 74 | 강소연구개발 특구내 특목고 설립 | 폐기 | 특목고 설립주체인 한양대의 설립의지가 없는 상황에서 공약이행은 불가능한것으로 폐기가 타당하다고 판단 |
연번 | 공약번호 | 공약사업 | 담당부서 | 변경주요내용 | ||
---|---|---|---|---|---|---|
기존 | 변경 | 사유 | ||||
23 | 86 | 안산누리목재문화체험장 조성 | 공원과 |
|
|
기본구상 및 타당성용역 및 설문조사 결과 반영 |
24 | 87 | 에너지 전환을 위한 수소도시 조성 | 에너지정책과 |
|
|
국토부 수소도시 공모사업 선정 지자체는 제외대상으로 공모사업 추진 불가. |
25 | 88 | 신재생에너지 자립도시 조성 | 에너지정책과 |
|
정부정책 변화, 민간투자 변경에 따른 주도적 역할을 추진하기 어려워 연료전지 발전은 세부사업에서 삭제함 |
연번 | 공약번호 | 공약사업 | 담당부서 | 변경주요내용 | ||
---|---|---|---|---|---|---|
기존 | 변경 | 사유 | ||||
26 | 92-2 | 산업단지 출퇴근 교통정체 획기적 개선 (산단 내 수요응답형 버스 시범사업) |
대중교통과 |
|
|
경기도 세수 부족 등으로 정책 변경(시기 지연)에 따른 현실적인 추진 목표 설정으로 이행률 제고 |
27 | 97-1 | 안산시 주차난 획기적 개선 [구별 운동장 지하주차장 및 공원 지하 대형주차장 건설] |
교통정책과 |
|
|
|
28 | 97-2 | 안산시 주차난 획기적 개선 [중앙동 공영유료주차장 고도화(복합화)사업 추진] |
교통정책과 |
|
|
상부 공간(공원, 광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주차장 확보와 더불어 상권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 변경 |
29 | 103 | 대중교통 노선 효율적인 조정 | 대중교통과 |
|
|
경기도 세수 부족 등으로 정책 변경(시기 지연)에 따른 현실적인 추진 목표 설정으로 이행률 제고 |
연번 | 공약번호 | 공약사업 | 담당부서 | 폐기사유 |
---|---|---|---|---|
30 | 92-3 | 산업단지 출퇴근 교통정체 획기적 개선 (안산역 사거리 인근 신설도로 개설) |
산업진흥과 |
|
31 | 74 | 강소연구개발 특구 내 특목고 설립 | 교육청소년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