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관광명소

성호 이익

성호이익
성호 이익

아름다운 문장이나 시문에만 매달리지 말고, 백성들이 살아가는데 실제적으로 유용하고 실효성있는 학문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 이익선생의 실학사상은,

    • 아름다운 문장이나 시문에만 매달리지 말고, 백성들이 살아가는데 실제적으로 유용하고 실효성있는 학문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1. 성호이익선생은 제자들을 많이 길러내어 조선조 중기부터 일어나기 시작한 실학 혁신의 기반을 다지는데 크게 활약하였습니다.
  • 고난과 역경을 이겨낸 큰 스승

    1. 성호 이익 선생은 1681년 아버지가 유배된 평안도 운산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성호가 두 살이되던 해 세상을 뜨게 됩니다. 그 후 고향인 안산 첨성리(지금의 일동)에 내려와 자라면서 둘째 형인 이잠에게 글을 배우며 공부했습니다.
    2. 선천적으로 몸이 약했던 이익 선생은 학문을 정진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25세 때 과거 시험을 보았으나 낙방하였습니다. 이듬해 형 이잠이 당쟁에 휘말려 옥사하게 되고 정치적인 박해를 받으며 가세는 기울게 되었으며 말년에는 오랜 질병으로 몹시도 빈한한 처지가 되었습니다.
    3. 이익 선생은 이처럼 당쟁의 회오리와 병고에 시달리면서도 학문에 정진하였습니다. 후에 다산 정약용은 “성호선생께서 집안에 화를 당한 뒤로 이름난 학자가 되셨으니, 권세있는 부호가의 자제들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라고 기록하였습니다. 성호의 학문이 알려져 많은 제자들이 안산으로 찾아 든 것은 그의 나이 30대부터 였습니다. 성호의 훌륭한 제자들은 조선 후기 실학의 사상과 학문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됩니다. 또한 그의 나이 47세 때에는 그의 학문과 덕행을 듣고 몇 차례 벼슬을 내리려고 불렀으나, 한 번도 이에 응하지 않고 농사를 지으며 학문에만 정진하였으니, 그가 주장한 ‘사농합일(士農合一)’즉,‘선비는 농사로서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라는 주장을 철저히 실천한 셈입니다.
    4. 본래 병약했던 그가 등과 가슴에 악성 종기가 심해진 것은 60대 이후였습니다. 수많은 친족을 보살피고 자신의 병을 다스리는 동안, 가산은 탕진되어 나중에는 ‘송곳조차 꽂을 단 한 평의 땅도 없을’정도로 경제적으로 또 신체적으로 모진 세월을 보내게 되었지만 83세로 세상을 등질 때 까지 실용 실증의학인 경세치용학문 탐구를 멈추지 않았습니다.
  • 학문과 사상

    1. 이익 선생의 실학사상은 학문이 아름다운 문장이나 시문에만 매달리지 말고 백성들이 살아가는데 실제적으로 유용하고 실효성있는 학문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양반도 많은 하인을 거느리며 무위도식하지 말고 과거제도를 폐지하고 농사를 짓는 농민들 중에서도 유능한 사람이 있으면 관직에 기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 당시의 철저한 신분제도를 타파하여 노비의 해방까지도 주장하며 권세와 농토를 독차지하고 있던 양반들의 미움을 사기도 했습니다. 또한 토지제도에 있어서도 균전론(均 田論)에서 한 사람이 많은 토지를 독점하는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 토지소유의 상한선을 두고 토지매매를 반드시 관청의 허가를 얻을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2. 이익 선생은 중국을 세계의 중심에 놓는 중화사상을 배척하며 중국이 유일한 천자의 나라가 될 수 없으며, 각 나라의 독립적인 주권이 존중되어야 한다고 하며 나라의 주체성과 독립성을 밝혔습니다.
    3. 이익 선생의 학문과 사상은 실제적이며 실용적인 것에 초점이 맞추어 있었고 당시 사회의 부조리한 폐단을 개혁하여 평등하고 열심히 일하는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었습니다.
  • 성호 이익 선생의 저서

    1. 성호문집

      성호문집
      성호문집은 시(詩), 부(賦), 서(書), 잡저(雜著), 서(序), 기(記), 제발 (題跋), 제문(祭文), 묘갈명(墓碣銘), 묘지명(墓誌銘), 유사(遺事), 전(傳), 행장(行狀), 가장(家狀) 부록등이 방대하게 실려있습니다. 성호문집은 27책의 퇴로본과, 36책의 사포본 두종류가 있습니다.
    2. 성호사설

      성호사설
      성호사설은 성호의 대표적인 저서로, 40여년에 걸쳐 쌓인 성호의 글들을 성호가 80세 가까이 되었을 때, 집안의 조카인 이병휴 등이 정리한 책입니다. 시무(時務)에 관한 것은 물론이고 천문, 역사, 제도, 경제, 제사, 풍속, 서학, 문학 등 다방면에 걸친 깊은내용이 들어있는 백과사전 형태의 책이다. 사설(僿說)이란 것은 “자잘하고 쓸데 없는 글” 이란 뜻으로 선생이 겸양의 뜻으로 붙인 이름입니다.
    3. 이자수어

      이자수어
      이자(李子)는 퇴계에 대한 존칭이며, 수어(粹語)는 순수한 말씀이라는 뜻입니다. 성호선생이 퇴계 이황(1501~1570)과 그 제자들의 글 중에서, 학문과 인격수양에 긴요한 글을 가려 뽑아서 종류별로 엮은 책입니다. 이익의 학통을 있는 사람들이 처음 배우게 되는 처음 교재가 바로 “이자수어” 였음은, 성호학이 퇴계의 학통을 잇는다는 것을 보여줄 뿐 아니라, 성호에 있어서, 실학을 중시하는 저변에 경학을 바탕으로 한 도덕적 수양을 중시하였음을 알려줍니다.
    4. 성호질서

      성호질서
      질서란 빨리 쓴 글이란 뜻으로 겸손의 표현이다. 유교경전에 대한 성리학적인 해석을 교조적으로 따르지 않고 성호선생이 직접 경학에 대한 비판적이고, 고증학적인 연구들이 담겨 있습니다.「맹자질서」,「대학질서」,「논어질서」,「 중용질서」,「 역경질서」, 「서경질서」,「시경질서」는 ‘성호질서(星湖疾書)’라고 통칭되기도 하며 성호가 공부하는 경전 공부의 순서 또한 , 위의 질서들을 술한 순서와 같습니다.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