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용신선생묘
국권상실기의 암울한 시대에 여성의 몸으로 농총계몽과 민족의식 고취를 위하여 순교자적인 활동을 한 애국지사
- 위치 안산시 상록구 샘골서길 64
- 문의 문화예술과 031-481-3438
- 종목
및 번호 안산시향토유산 제18호 - 지정일 1991. 11. 2.
- 홈페이지 https://www.ansan.go.kr/choiyongshin/
-
상세정보
- 최용신 선생 묘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샘골서길 64 상록수공원 내에 있다. 최용신은 1935년 1월 23일 2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면서 샘골강습소가 보이고 종소리가 들리는 곳에 묻어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처음에는 일리 공동묘지[지금의 일동 818번지]에 장지가 마련되었다. 최용신의 약혼자이자 샘골고등농민학원 이사였던 김학준과 부인 길금복에 의해 1975년 6월 9일 지금의 위치[당시 샘골 산75번지]로 이장되었다.
- 묘에 원형 봉분이 소박한 형태로 있으며 묘비와 최용신 추모비가 주변에 있다. 묘의 봉분은 240x97㎝이다. 묘비 앞에는 ‘농촌사업가최용신선생지묘(農村事業家崔容信先生之墓)’, 뒤에는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 주후일구삼오년 1월 23일(朝鮮女子基督敎靑年會 主后一九三五年 一月 二三日)’이라고 새겨져 있다. 최용신 선생 묘는 1991년 안산시 향토유적 제18호로 지정되었다. 2007년 11월 20일 묘가 있는 상록수공원 내에 최용신기념관이 건립되었다. 2009년 기준 최용신 선생 묘는 안산시 소유로, 안산시 문화예술과에서 관리하고 있다.
-
위치
- 안산시 상록구 샘골서길 64 상록수공원 내
-
교통정보 안내
시내 및 좌석버스, 지하철, 자가용의 길을 알려주는 표 시내 및 시외버스 시내버스 시내버스 10-1, 22, 31, 33, 52, 55, 66, 71, 71-1, 71-2, 76, 80B, 99, 99-1, 101, 125, 310, 511 시외버스 시외버스 11(수원), 21(시흥), 23(시흥), 301(여의도), 3100(강남), 3101(강남), 3102(강남), 110(수원), 707(수원), 707-1(수원), 909(수원), 700(강남), 700-1(강남), 737(부평), 8147(동서울), 8317(천안), 8415(안중), 8427(평택), 8459(안성), 8467(성남) 지하철 지하철 4호선 상록수역 하차 3번 출구(도보 10분) 자가용 영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안산 IC 또는 군포 IC ? 안산방향 ? 상록수역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신갈분기점 ? 영동고속도로(수원, 인천방향) ? 군포IC ? 안산방향 ? 상록수역 서해안 고속도로 서해안 고속도로 서울, 광명, 금천 시흥 방면 : 서서울IC ? 안산IC ? 상록수역
목포, 충남, 당진 방면 : 매송IC ? 수인산업도로 ? 안산농수산물센터 방면 ? 상록수역주차안내 주차안내 주차안내 옥외(상록수공원)주차장 25대 /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