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보건사업안내

간염(A,B,C)

간염(A,B,C)

간염(A,B,C) - A형간염,B형간염,C형간염(정의, 병원체, 전파경로, 잠복기, 증상, 치료, 전염기, 기타) 순으로 내용을 전달합니다.
구분 A형간염 B형간염 C형간염
정의 A형간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질환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만성 간염 질환 C형간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만성 간염 질환
병원체 Hepatitis A virus Hepatitis B virus Hepatitis C virus
전파경로
  • 분변-경구 직접
  • 환자 분변에 오염 된 물이나 음식물 섭취
  • 혈액이나 성접촉
  • 산모-신생아 주산기감염
  • 감염 된 혈액 수혈
  • 바이러스에 오염 된 도구나 보유자의 체액이 묻은 바늘이나 칼에 상처 입은 경우
주사기 공동사용, 수혈, 혈액투석, 수직감염 등
잠복기 15~50일(평균 28일) 60~15일(평균 90일) 2주~6개월(평균 6~10주)
증상
  • 발열, 식욕감퇴, 구토, 암갈색 소변, 황달
  • 6세 미만은 대부분 무증상
  • 연령 높아질수록 증상 심해짐
  • 급성 황달, 흑뇨, 식욕부진 등이 있으나, 무증상 감염도 있음
  • 바이러스 제거되지 않으면 만성간염으로 이환
  • 초기 감염 후 70~80% 무증상
  • 서서히 감기몸살 증상이나 만성피로감 등/li>
치료
  • 예방 : 예방접종
  • 안정, 고단백식이 등 대증치료
  • 예방 : 예방접종
  • 6개월 간격으로 혈액 및 간초음파 검사
  • 급성 : 안정, 고단백식이
  • 만성 : 안정, 식이요법, 항바이러스제 치료
전염기 증상 발현 2주전~황달 생긴 후 1주까지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인 경우(혈액검사 HBsAg 양성) 바이러스 양성 시
기타 항체 형성, 평생 면역, 만성화(×) 전격성 간염 시 사망하기도 함 만성화 가능 만성화 가능, 치료제 있음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콘텐츠 관리부서 보건행정과 감염병관리팀
  • 전화번호 ☎ 031-481-3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