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CBR)
목적
- 지역장애인의 건강상태 개선 및 자가 건강관리능력 향상
- 의료 전달체계의 유지기 역할을 위한 장애인 대상 지역사회 인프라 구축
사업대상
- 법적 등록 장애인으로 지속적인 재활이 필요한 자
- 예비장애인(재활의료기관에서 퇴원하는 환자)
- 저소득층으로 지역사회에서 재활의료서비스가 필요한 장애인
사업내용
재활보건실 운영
대상 |
|
---|---|
내용 |
|
진료절차 |
|
진료비 |
|
준비물 |
|
대상질환 |
|
장애인 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
- 슬링재활운동 프로그램(이동가능 장애인 재활)
- 전문강사의 운동치료 지도와 실습을 통한 장애인의 건강 행위 실천 능력 향상
- 장애인 및 보호자 자가 재활 지도(내소)
- 관절운동, 일상생활동작, 보행훈련, 지역사회조기적응 정보 제공 등
- 방문 재활 프로그램
- 재활의료기관 및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에서 의뢰되는 장애인 및 예비장애인(등급대기자)의 신체재활 및 지역사회조기적응 지원
장애인 사회참여 프로그램 운영
- 일상생활동작교육 프로그램
- 공예, 요리 등 취미생활을 접목한 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교육
- 재활스포츠 프로그램
- 스포츠 활동을 통해 체력 증진 및 스트레스 해소, 여가 활동 기회 제공
- 그룹운동 프로그램
- 재활운동기구를 활용한 소그룹 건강증진 프로그램
사회통합서비스
-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
- 국립재활원 장애인 강사 출장을 통한 장애인식 개선 및 사고 예방
- 유관기관 협의체 및 연계프로그램 운영
- 유관기관 프로그램 안내 및 여성암재활, 노인운동 등 연계 프로그램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