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열린광장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

심폐소생술 및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심폐소생술

  • 심폐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숨이 멎었을 때 가슴압박을 통해 심장의 역할을 대신하여 혈액의 순환을 유지시킴으로 뇌세포의 손상을 막는 응급처치방법입니다.
단원보건소에서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방법을 제대로 배워보세요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 심장정지가 발생하고 4분이 지나면 뇌가 손상되기 시작하고, 10분 이후 부터는 뇌 이외의 다른장기들도 손상되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심정지가 발생하면 늦어도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를 병원치료가 이루어질 때까지 중단 없이 계속해야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에 응급상황 발실 직후부터 4분까지를 골든타임이라 부릅니다.

안산시 단원구 심정지 발생 및 실시·생존율 현황

심정지 발생 및 실시·생존율 현황 - 구분,급성 심장정지 발생,생존율,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율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급성
심장정지
발생
생존율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율
2021 전국 33,235 2,410 7.3% 8.381 28.8%
경기도 7,638 543 7.2% 2,361 36.0%
안산시 379 27 7.1% 126 33.2%
안산시 단원구 184 12 6.6% 52 34.4%
2022 전국 35,018 2,701 7.8% 8,856 29.3%
경기도 8,035 630 7.9% 2,575 37.2%
안산시 388 41 10.5% 163 42.0%
안산시 단원구 185 27 14.6% 80 51.9%
2023 전국 33,586 2,881 8.6% 9,068 31.3%
경기도 7,944 667 8.4% 2,558 37.4%
안산시 438 41 9.4% 139 37.1%
안산시 단원구 207 23 11.1% 59 33.0%

심폐소생술 및 자동심장충격기 교육 및 사용법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을 자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나, 출처표시, 변경금지 및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