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방위의 개념
정의
- 적의침공이나 전국 또는 일부 지방의 안녕과 질서를 위태롭게 할 재난(민방위사태)으로부터
-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 정부의 지도하에 주민이 수행하여야 할 방공, 응급적인 방재·구조·복구 및 군사작전상 필요한 노력지원 등 일체의 자위적 활동을 말함(주민자위·인도적·비군사적 활동 )
본질
- 주민 자위활동
- 순수 민간인(주민)으로 민방위조직 구성
- 민간인 생명·재산보호 목표
- 인도적 활동
- 적의 군사적 활동으로 주민의 생명·재산보호 활동
- 국제적 민방위대원의 활동보호 협약
- 비군사적 활동
- 비군사적 당국의 지휘하에 활동
- 비전투 장비·용구 사용
민방위제도의 도입배경

안보적 측면
- '75. 4월 월남 패망, 라오스·캄보디아 공산화 등 인도지나 사태 교훈
- 군사적 요인보다는 정치·경제·사회적 분열로 패망
경제·사회적 측면
- 도시화·산업화 및 기상이변에 따른 재난증가
- 국민의 안전에 대한 욕구증대 및 경제적 손실의 최소화
황색테두리 원
무궁한 발전과 단합을 강조
3개의 삼각형
예방구조복구의 민방위 활동내용, 지휘본부, 출동부서, 현장통제의 민방위 활동체제를 뜻함.
백색
백의민족의 평화애호정신을 뜻함
황색
경계경보 신호의 뜻
청색
공습경보 신호의 뜻
녹색
해제경보 신호의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