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맑음
19 ℃ 미세먼지 58㎍/m³

안산소개

김홍도의 풍속화

서민들의 생활상을 그린 풍속화

김홍도의 베짜기 그림 김홍도의 베짜기 김홍도의 점심 그림 김홍도의 점심 김홍도의 기와이기 그림 김홍도의 기와이기

김흥도의 베짜기

먼저 의(衣)생활과 관련된 작품으로는 면화 따기, 실잣기, 베짜기(길쌈), 빨래하기, 바느질하기 등이 작품으로 전해져 온다. 이중 <실잣기>와 <베짜기>는 김홍도의 작품 중 가장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국립 중앙박물관 소장의 <풍속화첩>에 포함되어 있다. <베 짜기>도 유사한 시골 농가의 모습을 보여준다(도). 여기에서는 남자 어른은 보이지 않는다. 엄마는 베틀에 앉아 베를 짜고 있고, 아이는 할머니의 옷고름을 잡은 채 그 모습을 바라보고 있다. 어린 동생도 할머니 등에 업혀 고개를 내밀고 있다. 그런데 할머니는 며느리의 베 짜는 기술이 썩 마음에 내키지 않는 표정이다.

김흥도의 점심

식(食) 생활과 관련된 것으로는 봄 경작, 나문 캐기, 논갈이, 모내기와 새참, 점심, 타작, 주막, 고기잡기, 해물장수, 술장수 할머니, 우물가 등의 소재가 그려졌다. 새참, 혹은 점심이 운반되면 일하던 농부들은 모두 웃통을 벗어제치고 맛있게 보리밥을 한 그릇씩 뚝딱 해치우고, 탁주를 시원스레 벌컥벌컥 마실 것이다. 이런 모습은 <점심>에 재미있게 그려져 있다. 새참을 운반한 아낙네는 농부들이 밥을 먹는 동안 돌아앉아 아이에게 젖을 먹이고, 따라온 검둥이는 자기차례를 기다리며 얌전히 앉아 있다. 오른쪽 위에 앉아 항아리 속을 쳐다보는 떠꺼머리 총각 녀석은 아마도 술잔이 자기 차례까지 오지 않을까 걱정하는 듯 하다.

김흥도의 기와이기

주거(住居) 생활을 그린 것은 비교적 적은 편으로 국립박물관 소장 <풍속화첩>중에 <기와이기>가 있다. 또 앞서 <실잣기>에 보이던 자리 짜는 모습도 주거 생활과 관련이 되며, <주막집>이나 기타 풍속화의 배경으로 농가가 조그마하게 표현되기도 한다. <기와이기>에서는 당시 목수들이 집을 짓는 모습을 단순화시켜 표현하였다. 대패질하기, 추를 드리워 기둥이 수직으로 서 있는가 검사하는 모습, 진흙 덩어리를 줄에 묶어 지붕위로 올려주고, 기와를 한 장씩 던져 올리며 차곡차곡 진흙을 바른 위에 붙여나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양반사대부들의 생활상을 그린 풍속화

김홍도가 양반 사대부들의 풍속을 그린 것으로는 평생도(平生圖), 기로회도(耆老會道), 계회도 (契會圖), 아집도(雅集圖), 유연도(遊宴圖) 등이 있다.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평생도이다. 평생도란 일생도(一生圖)라고도 불리는데, 말 그대로 어떤 개인의 일평생 중 중요한 사건들을 6폭 내지 12폭의 병풍으로 그린 것을 말한다. 평생도는 김홍도에 의해 최초로 그려졌는데, 현재 전하는 그의 작품으로는 모두 3점이 있다.

김홍도의 제1,2폭도 이미지 제1폭도 제2폭도 제1폭<돌잔치>는 한 사람이 태어나서 가장 처음 맞이하는 경사스런 행사로서의 돌잔치가 그려졌다. 화면의 제일 큰 건물 안에 부모님, 할아버지, 유모, 손님 등이 모여 앉아 아기를 둘러싸고 있다. 아기 앞에는 돌상이 놓여져 있고, 마당에는 여러 하녀들과 아이들도 잔치를 축하하며 서 있다.

제2폭<혼인식>은 흰말을 탄 신랑 일행이 신부의 집으로 가는 행렬을 그렸다. 개천에는 오리가 헤엄치고 있고, 길가 집들의 대문이나 창문에는 여인들과 아이들이 머리를 내밀고 구경하고 있다.
김홍도의 제3,4폭도 이미지 제3폭도 제4폭도 제3폭<삼일유가 (三日遊街=應榜式)>은 과거에 급제한 주인공이 어사화(御賜花)를 꽂고 말을 탄 채 행진하는 모습을 그렸다. 주변 길가와 담벼락에는 구경꾼들이 보인다.

제4폭<한림겸 수찬시(翰林兼 修撰時)>는 조선시대 벼슬살이 중 초기에 가장 촉망받던 벼슬을 하고 있는 주인공의 늠름하고 전도양양한 모습을 표현하였다.
김홍도의 제5,6폭도 이미지 제5폭도 제6폭도 제5폭<송도유수 도임시(松都留守 到任時)>는 주인공이 송도(개성) 유수 임명을 받고 앞뒤에 맨 쌍교(雙轎)를 타고 고갯길을 넘어가는 모습이다. 많은 수행원들이 고갯길을 가득 메우고, 길가던 행인들이 모여 앉아 구경을 한다.

제6폭<병조판서시 (兵曹判書時)>는 외직(外職)을 마치고 한양에 돌아와 병조판서의 큰 벼슬을 맡아 위세가 당당한 주인공이 밑에 바퀴가 달린 초헌(초軒)을 타고 가는 행렬이다.
김홍도의 제7,8폭도 이미지 제7폭도 제8폭도 제7폭<좌의정시 (左議政時)>는 마침내 정승의 반열에까지 오른 주인공이 밤늦게까지 막중한 국사(國事)를 돌보다가 달밤에 퇴근하는 모습인 듯 하다. 앞뒤로 네 사람이 맨 평교자(平交子)를 타고 있는데, 횃불을 든 사람 여럿이 앞장서고 있다.

제8폭<회혼식 (回婚式)>은 나라의 대소 벼슬을 모두 무사히 마쳤을 뿐만 아니라, 노부부 모두 수명장수(壽命長壽)까지 얻어 결혼 60주년을 맞이하는 모습이다. 아들, 며느리, 손자 등 집안 식구들과 친척, 손님들이 운집한 가운데 노부부가 회혼례를 올린다. 대청에서 마당까지 임시로 마루를 깔고 위에는 차일을 쳤다. 단상에는 노부부를 따라 남녀가 각기 나누어 서 있고 단 아래에는 하녀들이 서 있다. 사랑채 마루에는 장죽을 문 점잖은 손님들이 있고 하녀가 음식을 운반하고 있다.

국가나 궁중의 행사를 그린 기록화

김홍도가 그린 의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인데, 이것은 정조대왕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를 수원 화성(華城)에서 개최한 행사의 전말을 자세히 기록한 보고서이다. 여기에는 중요한 행사 장면이 목판화로 인쇄되어 있는데, 김홍도가 중심이 되고 여러 화가들이 참여하여 만든 것이다. 이 정리의궤에 실린 삽도 중에서 <주교도 (舟橋圖)>를 보면, 조선시대 그림에서는 보기 드문 투시도법과 원근법을 이용하여 한강에 설치된 배다리의 모습을 실감나게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배다리는 정조가 수원에 있는 부친 사도세자의 묘소를 참배하러 갈 때 가설되던 임시 교량으로써, 현재의 노량진 근처 한강에 설치되었다. 한편 정리의궤 안에는 <주교도>이외에도 정조와 혜경궁 홍씨가 수원에서 여러 가지 행사를 마치고 다시 시흥을 거쳐 한양을 돌아올 때까지의 장면을 판화로 싣고 있다. 이 {원행을묘정리의퀘}는 수원성 축조 보고서인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와 함께 조선시대의궤 중 가장 뛰어난 것이다. 이들 의궤도들은 단순히 국가 행사의 기록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의 사회 풍속을 보여주는 풍속화로서의 의의도 큰 것이다. 참고로 {화성성역의궤}의 판화는 김홍도의 영향을 크게 받은 엄치욱(嚴致郁, 18세기말-19세기초)이라는 화가가 밑그림을 그렸다.

국가적 행사를 기록한 것으로 의궤도 이외에 계병(契屛)이 있다. 계병은 어떤 국가적 행사에 참여한 관원들끼리 계를 조직하여 그 행사의 중요 장면을 그린 그림과 그 내용을 설명하는 글을 병풍에 함께 실어 궁중이나 관청에 보관하는 한편, 개인들도 기념으로 나누어 갖게 된다. 이런 계병은 상당수가 남아 있는데, 김홍도가 그린 가장 유명한 것이 흔히 말하는 <수원능행도병풍 (水原陵行圖屛風)>이다.

‘수원능행’이란 정조가 수원에 있는 부친 사도세자의 능(陵)을 참배하러 간 것을 뜻하는데, 정조가 수원에 능행한 것은 여러 차례지만 이 병풍에 그려진 것은 을묘년 원행(園行) 행차이다. 을묘년 원행이란 앞에서 살펴본 {원행을묘정리의궤}의 내용이 되는 행사로서, 1795년 정조는 회갑을 맞은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잔치를 동갑인 돌아가신 부친의 묘소 현륭원(顯隆園)이 있는 수원 화성(華城) 에서 거행한 것이다. 따라서 이 병풍의 원래 정식 이름은 <원행을묘정리소계병 (園行乙卯整理所契屛)>으로서, 을묘년 원행을 총괄하던 임시 관청인 정리소에서 만든 계병이라는 뜻이다. 이 계병은 다음 8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 1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 : 수원성 행궁의 봉수당에서 열린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장면
  • 2 <낙남헌양로연도(落南軒養老宴圖)> : 경축행사의 일환으로 수원 인근의 노인들을 낙남헌에 불러 양로연을 베풀어주는 모습
  • 3 <알성도(謁聖圖)> : 수원성의 공자묘를 참배함
  • 4 <방방도(放榜圖)> : 경축행사의 일환으로 임시 과거 과거를 열고 합격자를 발표함
  • 5 <서장대성조도(西將臺城燥圖)> : 서장대에서 야간군사훈련식을 참관함
  • 6 <득중정어사도(得中亭御謝圖)> : 득중정에서 임금이 활을 쏘는 장면
  • 7 <시흥환어행열도(始興還御行列圖)> : 모든 행사를 마치고 한양으로 귀환하는 중 시흥 행궁에서 쉬는 모습
  • 8 <주교도(舟橋圖)> : 노량진에서 배다리를 건너 한강 북쪽 궁궐로 가는 모습
이 정리소계병도 김홍도의 주도 아래 여러 화원들이 참여하여 그려졌는데, 현재에도 국립중앙박물과, 호암미술관, 창덕궁 등에 여러 벌이 전하고 있다. 이 병풍에는 수많은 인물들이 사실적 건물이나 산수를 배경으로 그려져 있어, 당시의 성대했던 행사의 분위기를 오늘날까지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그런데 이 병풍에 그려진 장면이나 기본 구도는 {원행을묘정리의궤}의 삽도와 같은 부분이 많아서 김홍도의 주도적 역할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콘텐츠 관리부서 문화예술과 예술팀
  • 전화번호 ☎ 031-481-2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