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구름많음
18 ℃ 미세먼지 35㎍/m³

안산소개

단원김홍도

단원 김홍도 사진

본관은 김해이며, 호는단원이다.

예로부터 안산은 문화적 토양이 매우 비옥했던 고장이었다.

18세기 영·정조 시대에 이곳은 학문과 예술의 향훈으로 가득차 있었다.

점성촌(현재의 일동)에는 실학의 거목인 성호 이익이,

북쪽의 부곡동에는 시서화의 삼절로 추앙을 받던 표암 강세황이 계셨다.

단원 김홍도

단원(檀圓) 김홍도(金弘道, 1745~?)의 출생 및 사망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7∼8세부터 20여 세까지 안산에서 활동하던 표암(豹庵) 강세황(姜世晃, 1713~1791)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김홍도는 일반적으로 풍속화의 대가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신선 그림, 행사 그림, 초상화 등 모든 분야에서 탁월한 기량을 보였다. 그중에서도 산수화는 그의 예술 세계에서 가장 빛나는 부분이다.

김홍도는 그를 지도했던 강세황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당대에 유행하고 있던 남종화풍(南宗畵風)의 산수화와 익살스러운 풍속화에서 우리의 서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그가 44세 되던 해에 정조의 명으로 금강산에 있는 4개 군의 풍경을 그린 것을 계기로 하여 그의 독자적인 산수화를 확립한 것으로 보인다. 이때 김홍도가 실제 경관을 사생(寫生)한 것이 금강산 사군첩(四郡帖)인데 여기에서는 우리나라 화강암 돌산과 소나무가 있는 토산을 표현하는 적절한 묘사법을 터득하여 나뭇가지에 물이 오르는 모습을 경쾌하게 묘사한 수지법(樹枝法)이 완성되었다. 김홍도의 이러한 산수화는 그가 51세 되던 해에 벼슬길에서 물러나면서 자유인으로 살아가게 되는데 이후 더욱 완숙한 경지로 들어가게 된다.

만년에 그는 여백을 적절히 남기면서 대상을 압축하는 밀도 있는 구도법과 형상을 집약해서 표현하는 묘사력 그리고 운치있는 운염법(暈染法) 등으로 진경산수와 남종문인화의 화법이 하나로 만나는 높은 예술적 경지를 보여주었다. 그가 이룩한 풍속화 양식은 같은 시대의 긍재 김득신, 혜원 신윤복에게도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긍원 김양기, 임당 백은배, 혜산 유숙, 시산 유운홍 등에 의해 계승되었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정승 벼슬자리하고도 바꾸지 않는다는 「삼공불환도(三公不換圖)」와 개성 만월대에서 벌어진 잔치를 그린 「기로세련계도(耆老世聯契圖)」, 말을 타고 가다가 꾀꼬리 소리에 멈추었다는 「마상청앵도(馬上廳鶯圖)」 등이 있다.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콘텐츠 관리부서 문화예술과 문화재관리팀
  • 전화번호 ☎ 031-481-3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