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맑음
16 ℃ 미세먼지 ㎍/m³

안산소개

한응인 영정 및 재실유물일괄

한응인 영정 및 재실유물일괄

조선 중기의 공신인 우의정 한응인의 초상화 및 초상화를 모신 사당에 남아있던 제사도구들이다.

  • 지정번호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3호
  • 소재지 : 안산시 상록구 충정공길 59
  • 지정일 : 1995.4.24.
  • 시대 : 조선중기

한응인(韓應寅, 1554~1614)은 부사직 경남(敬男)의 아들로 태어나 선조 때 활약 했던 문신으로 초서에 뛰어난 선조유교칠신(宣祖遺敎七臣) 중 한 사람이다.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졸재(白拙齋), 본관은 청주, 시호는 충정(忠靖)이며,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이다.

초상화는 36cm폭의 비단을 3폭 꿰메어 만든 화폭에 관복차림의 전신좌안칠분면좌상(全身左顔七分面坐像)*을 그린 공신 초상화 형식의 그림으로 공신에 봉해졌을 17세기 초 도화서 서원에 의해 그려진 초상화이다. 이 시기의 일반적인 공신도와는 달리 높은 사모(紗帽)**를 썼고, 흉배(胸背)*** 역시 목단화 바탕 대신에 파도위에 두 마리의 학이 나는 형상을 금채(金彩)를 가해 묘사했으므로 화려한 분위기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안면은 세필(細筆)로 섬세하게 특징을 살려 나갔는데, 눈썹과 수염부분에는 먹의 번짐 으로 농담을 표현한 방식인 운염법(暈染法)을 함께 구사 했다. 건장한 체구에 넓적한 얼굴, 날카로운 눈매를 갖춘 모습으로 근엄하고 당당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대체로 이 초상화는 생생한 안면묘사, 꼼꼼한 필치에 의한 표현수법, 안정감 있는 구도 등에서 17세기 초의 공신도 성격의 초상화로 그 가치가 크다.

재실유물은 목제흑칠제구(木製黑漆祭具) 9점, 교의(交倚) 2점, 주독(主櫝) 1점, 신주(神主) 1점, 제상(祭床) 2점, 향로상(香爐床) 1점, 모사상(茅砂床) 2점이 남아있다.

* 전신좌안칠분면좌상(全身左顔七分面坐像) : 왼쪽 얼굴이 돋보이며 앉은 채로 전신이 표현된 초상화
** 사모(紗帽) : 조선시대 관료들이 관복을 입을 때 쓰던 모자
*** 흉배(胸背) : 관복 앞에 붙인 사각형의 장식으로 문신은 학, 무신은 호랑이를 새김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콘텐츠 관리부서 문화예술과 문화재관리팀
  • 전화번호 ☎ 031-481-3437